Studio 3.0부터는 Sub Process의 개념과 Sub Process의 Task의 개념을 Shared Library의 기능으로 제공합니다. 해당 기능은 라이브러리(Library)프로세스를 생성하여 사용해야 합니다.
Sub Process의 개념과 Sub Process의 Task의 개념을 구체적으로 설명합니다.
예를 들어, 프로젝트에 항상 사용되는 아래와 같은 공통된 프로세스가 있다고 가정을 합니다.
Sub Process
Sub Task
Studio의 새파일을 클릭 합니다. 신규 프로세스 생성 팝업 창에 프로세스 이름을 입력한 후, 프로세스 유형을 Library로 선택 한 후 생성 버튼을 클릭 합니다.
⑤라이브러리 프로세스인 ⑥NaverCovid19Search가 생성되었습니다.
하위 태스크인 ⑦[네이버 포털 로그인(id/pw입력) Task 네이버 검색 창에 “코로나 확진자” 검색 Task 검색 결과 Scraping Task]을 생성한 것을 확인 할 수 있습니다.
다음으로 생성된 라이브러리 프로세스를 워크센터에 등록 합니다.
라이브러리 업로드를 클릭 하면, 팝업창이 나타납니다.
업로드될 ③워크센터(WorkCenter URL)을 확인 합니다. ②라이브러리 이름, ③새버전, ⑤설명, ⑥릴리즈 노트를 기입한 후 ⑦업로드버튼을 클릭 합니다.
업로드 된 ②라이브러리 프로세스(Shared Library)를 확인 합니다.
③Version History버튼을 클릭 하면, 아래 <그림5>와 같이 Version History 팝업창을 확인 할 수 있습니다.
Shared Library를 사용하기 위해서 Studio의 파일 > 새파일로 하여, 프로세스 유형을 프로세스를 선택하여, 일반 프로세스를 생성 합니다.
Resource탭의 Library의 ①라이브러리 관리를 클릭 합니다.
공통 라이브러리 관리 팝업창에서, NaverCovid19Search를 선택 후, ②다운로드 버튼을 클릭 한 후 성공적으로 다운로드 한 것에 대해서 확인③ 버튼을 클릭 합니다.
다운로드 받은 라이브러리 프로세스(Shared Library)를 확인 할 수 있습니다.
사용자가 새로운 프로세스를 생성한 후, 아래<그림9>와 같이 ①Sub Process Event Item을 ②Process Canvas에 drag&drop 합니다.
Sub Process 속성 Library Name에 <그림8>다운로드 받은 Shared Library ③“NaverCovid19Search”를 선택 합니다.
Sub Process의 내부에는 ②-1과 같이 Library로 묶여 있지만, 내부적으로 태스크(NaverLogin→Covid19Search→ResultScraping)들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프로세스를 실행 했을 경우, 해당 태스크들이 단계적으로 실행이 됩니다.
Sub Process의 장점은 공통된 프로세스를 만들어 놓고 호출하여 바로 사용할 수 있는 것입니다.
Sub Process①에 Shared Library(NaverCovid19Search②)가 정상적으로 연결 된 것을 나타냅니다. 프로세스를 실행 하면 출력 창③에 로그가 기록 됩니다.
사용자는 새로운 Task를 생성합니다. Resource 탭에서 다운받은 Shared Library를 펼치면 ①과 같이 Task가 나타냅니다.
해당 NaverLogin Task①를 Task Canvas에 drag&drop합니다. Property③를 확인합니다.
만약 Input/Output 변수가 존재하는 경우, Edit 버튼을 통해서 입력 합니다.
라이브러리 프로세스(shared Library)는 업데이트가 가능합니다. 업데이트를 할 경우, 버전과 릴리즈노트 정보를 업데이트 할 수 있어서, 워크센터에서 버전 히스토리로 내용을 확인 할 수 있습니다.
①의 추가된 Task로 인하여 라이브러리를 업로드③를 할 수 있습니다.
③버튼을 클릭 하면, 라이브러리 업로드 팝업창이 나타납니다. 새버전④, 릴리즈노트⑤를 확인 한 뒤, 업로드⑥ 버튼을 클릭하면 워크센터에 새버전이 업로드 됩니다.
워크센터의 Shared Library 메뉴에서 Studio의 프로세스 라이브러리 업데이트로 인한 Version 정보①를 확인 할 수 있습니다. Version History②버튼 클릭 시 이력 정보③를 확인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