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세스 탭과 태스크 탭에서 사용되는 Event Item, Flow Control은 사용자로 하여금 Canvas 화면의 전체적인 내용의 파악과 이해를 돕기 위하여 레이아웃 정렬 기능을 지원합니다.
레이아웃 정렬에 대한 설명에 앞서 Event Item과 연결선에 대하여 설명합니다.
Item의 정렬 기준
일련번호 재정렬 기준
X, Y 좌표 정렬기준
연속된 연결의 특수경우 기준
※ 일련번호를 재정렬 했을 경우, 저장 버튼을 활성화하고 저장하기 전까지 활성화 상태를 유지합니다.
(Undo, Redo 개수 혹은 저장 상태와 상관없이 활성화 되어 있습니다.)
Studio 2.0에서는 기존 Studio 1.X 버전의 Item간 화살표 그리기 기능의 불편함을 대폭 개선하여 Item간 연결선을 직접 그리기는 물론 자동 생성 기능을 추가 하였습니다.
Item 연결선에 대하여
Item에는 Target이 되는 Connector (Top, Prev)와 Source Connector(Bottom, Next)를 갖고 있으며, 상하연결이 기본이고, 단일 연결이 기본이고, 연결선은 Source Connector에서 시작하여 Target Connector연결합니다.
기존 Studio 1.X에서 제공되지 않던 반대방향 연결도 지원합니다.
2번 Item의 Target Connector로 1번 Item의 Source Connector를 연결할 경우 상하로 자동으로 연결을 합니다.
또한 다음과 같이 잘못 시도된 경우에는 자동으로 연결을 수정하여 연결합니다.
1번 Item의 Bottom에서 2번 Item의 Bottom으로 연결은 잘못된 연결을 시도하고 있으므로, 1번 Item의 Bottom에서 2번 Item의 Top으로 연결합니다.
1번 Item의 Top에서 2번 Item의 Top으로 연결은 잘못된 연결을 시도하고 있으나 반대방향 연결이 가능성이 있으므로, 2번 Item의 Bottom에서 1번 Item의 Top으로 연결합니다.
※ Item 연결선 그리기의 제약
Studio2.0에서는 연결선 그리기 및 자동생성 등 편리함이 추가 되었지만 이에 대한 제약도 존재합니다. 다음의 경우에는 연결선이 자동 연결되지 않습니다. 스크립트 작성시 참고하셔서 연결선의 오류가 발생하지 않도록 주의하여 주십시오.
1) 연결을 시도하려는 Target Item에 기존 연결선이 존재할 경우
2) 연결을 시도하려는 Source Item에 기존 연결이 존재할 경우
3) 여러 개의 연결된 Item중 Target Item의 출력 화살표가 Source Item의 입력이 되는 순환구조의 경우
4) Try Catch등 블록구조에서 같은 불록이 아닌 외부Item에서 연결하는 경우
Item 연결선 자동생성에 대하여
Case 1) Item을 Drag Over시키면 자동 생성
Case 2) Item을 중간에 Drag Over시키면 자동 생성
Case3) 기존 연결 Item에 Drag Over시키면 자동 연결
Case4) 기존 Item 연결선 자동 생성 및 순서 변경
Item의 자동 정렬에 대하여
모든 [Start] Item과 연결된 Item은 기본적으로 가운데 정렬하고 아래 방향으로 연결하는 것으로 레이아웃 정렬을 지원합니다. 태스크 탭은 모든 Item을 자동정렬을 지원합니다.
단, 프로세스 탭은 Main Menu >레이아웃(L) > 레이아웃 정렬(A)을 클릭하여 Item의 레이아웃을 수동으로 정렬할 수 있습니다. 레이아웃 정렬은 한번 실행 후 다른 동작이 발생하기까지 비활성화 되며 연속해서 사용할 수 없습니다.
또한, Item에 대해서도 Item 정렬을 통하여 수동정렬을 할 수 있으며, 수동정렬의 활성화 조건은, 기존 레이아웃을 정렬 후 수정이 있는 경우에 선택된 Item이 두 개 이상이어야 정렬여부가 활성화하며, 수정이 없는 경우 오른쪽 그림과 같이 정렬여부가 비활성화되어 표시합니다.
Item 정렬은, 선택한 Item을 기준으로 가장 왼쪽에 있는 Item의 왼쪽을 기준으로 정렬하는 왼쪽 정렬(L), 선택한 Item을 도두 가운데 위치로 정렬하는 가운데 정렬(C), 선택한 Item중 가장 오른쪽 Item의 오른쪽에 맞추는 오른쪽 정렬(R) 이 있습니다.
또한, 다음과 같은 Tool Bar 아이콘으로도 레이아웃 정렬(A) 의 가능 여부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프로세스 탭에서 스크립트 작성시 연결을 해 놓고 있지 않은 Item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프로세스에서 제외 또는 작성 보류 태스크 등)
이 경우, Start Item과 연결되지 않은 Item들은 Start Item과 연결되어 정렬된 Item들과 일정 간격 우측으로 벗어난 위치에 자동 정렬합니다.
간격은 Event Item 가로 길이의 ¾ (Event Item 너비 200, 간격 150)입니다.
또한, Start Item과 연결되지 않은 Item들은 해당 위치에서 X좌표만 정렬되어 표시합니다.
Y 좌표는 임의로 변경할 수 있지만 X 좌표는 항상 정렬 되어 변경할 수 없습니다.
태스크 탭의 자동정렬 시 제약사항
Studio의 Canvas상의 Process탭과 Task탭의 정렬 방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 Process 탭: Start Item이 항상 존재합니다.
(*예외: 편집(E)에서 모두 선택(A)을 하면 Start Node는 자동으로 선택이 제외, 이동불가)
- Task 탭: 모든 Event Item이 항상 자동 정렬이 됩니다.
Start Item이 연결된 Item은 왼쪽 정렬이며, 연결되지 않은 Item은 오른쪽 정렬입니다.
- 태스크 탭에서도 자동정렬(아이콘) 기능 적용 예정입니다.
연결선 삭제 시 오른쪽 정렬라인 최 상단으로 위치하며 "Start(시작)"를 넘지 않도록 아래로 겹치지 않게 정렬합니다.
(*제약: 자동 정렬된 X축상에서 Y축만 이동이 가능합니다.
Start Item과 연결되지 않은 오른쪽 정렬된 Item은 Y축의 이동이 자유롭기 때문에 겹쳐 질 수 있습니다.
예외: 편집(E)에서 모두 선택(A)을 하면 Start Node는 자동으로 선택이 제외, 이동불가)